반응형

정책 5

내후년부터 5살 초등학교 입학한다

2025년부터 단계별 만 6세 부터 초등학교 입학이 사실상 확정되었는데요 부는 이르면 2025년 취학연령을 낮추는 학제개편안을 지난달 29일 발표하고 3개월씩 순차적으로 4년에 걸쳐 앞당겨 입학시키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2025년부터 학제가 개편된다면 2025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어린이들은 2018년 1월∼2019년 3월생이 되고 2026년에는 2019년 4월∼2020년 6월생, 2027년에는 2020년 7월∼2021년 9월생, 2028년에는 2021년 10월∼2022년 12월생이 취학한다는 뜻이다. 이러한 정책 추진 이유는? - 성인이되기전 1년 단축, 영유아 청소년에 들어가는 교육비 감소 - 1년 빨라지는 경제활동으로 인해 경제 활동 인구 증가 - 결혼 출산연령 앞..

정책 2022.08.01

노란우산공제에 대해서 알아보기

노란우산공제란? - 노란우산공제는 소기업, 소상공인이 생활의 안정과 사업재기의 기회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중소기업중앙회가 관리 운용하는 사업주의 퇴직금(목돈) 마련을 위한 공제 제도입니다. 노란우산공제 바로 가입하기 노란우산공제 가입 내용 1. 가입 대상 - 사업자 등록증이 있는 소기업·소상공인, 사업자 등록증이 없어도 소상공인으로 분류되는 프리랜서, 유튜버 등 인적용역 제공자 등 - 유흥주점, 단란주점, 무도장, 도박장, 안마업 가입 불가 소기업 소상공인 범위 확인 2. 가입 기간 - 폐업 등 공제금 지급사유 발생 시까지 3. 부금 납입 - 월 5만 원~100만 원(1만 원 단위로 선택) - 월납 또는 분기납으로 납부 가능하며 자동이체로 납부합니다. 4. 가입 방법 1) 은행 지점 방문 - 국민, 기..

정책 2022.07.02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이란? - 청년이 매월 10만 원, 15만 원 중 선택하여 2~3년간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과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와 민간후원금에서 적립해주는 통장입니다. 예를 들어, 매월 15만 원씩 3년간 저축하면 본인 저축액 540원, 지원금 540원을 합해서 원금 1,080만 원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월 적립금액 적립기간별 총 적립금 비고 본인 저축액 매칭 지원액 2년 3년 10만 원 10만 원 480만 원+이자 720만 원+이자 매월 적립 시 15만 원 15만 원 720만 원+이자 1,080만 원+이자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하기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 신청 대상 - 2022년 5월 23일 기준 근로 중인 서울시 거주자(재외국인 불가) - 2022년에 만 18세~만 34세인 자 (..

정책 2022.07.02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지원 대상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지원 대상 1. 연령 조건 - 만 19세~39세 이하 2. 주소 조건 - 신청일 기준 서울시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고 실제 거주하는 청년 1인 가구 - 주민등록상 만 19세~39세 이하 청년인 형제자매 및 동거인이 있는 경우 신청 가능합니다. 주민등록상 청년이 아닌 세대원이 있는 경우 사업 신청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바로 신청 3. 거주 조건 - 임차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의 건물에 월세로 거주하는 무주택자 - 주택 및 비주택(고시원 등)도 동일하게 지원 가능합니다. 4. 소득 조건 - 가구당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 신청인이 속한 가구의 건강보험료 부과액이 '2..

정책 2022.07.01

2022년 청년 내일저축 계좌 자격 조건 및 신청방법 총정리

2022년 청년 내일 계좌 조건 및 신청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란? - 일하는 청년들에게 교육비, 전세 자금 등 실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 쉽게 자립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청년내일저축계좌 지원 내용 1. 일반 청년 - 본인 적립액 월 10만 원에 정부지원금 월 10만 원을 추가 적립하여 3년간 지원합니다. 만기 시 본인 저축 금액 360만 원, 정부지원금 360만 원이 더해져 원금 720만 원과 예금이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 청년 - 본인 적립액 월 10만 원에 정부지원금 월 30만 원을 추가 적립하여 3년간 지원합니다. 만기 시 본인 저축 금액 360만 원, 정부지원금 1,080만 원이 더해져 원금 1,440..

정책 2022.07.01
반응형